💖 인쇄 주의사항
1. 작업물은 반드시 CMYK로 만들어주세요.
작업 템플릿은 반드시 인쇄모드인 CMYK로 작업해야 해요.
RGB는 빛을 표현하는 색 체계이고, CMYK는 잉크에서의 색을 표현하는 색 체계에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색 체계인 RGB로 작업한 결과물을 인쇄하면 CMYK로 강제로 바뀌어 화면에 표시된 색상과 다르게 인쇄될 수 있어요.
2. 해상도는 300dpi 이상이어야 해요.
낮은 dpi (Dot Per Inch) 로 작업할 경우 작업물의 해상도가 낮아 깨져보이게 돼요.
모니터 상으로 보는 해상도와 인쇄 해상도는 달라요.
3. 디자인 시 여백(재단)을 두고 작업해주세요.
인쇄 시 1mm~2mm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디자인 작업 시 오브젝트를 3mm 정도 넓혀주어야 해요.
디자인을 인쇄하면 커다란 용지에 인쇄한 다음 잘라내는 작업(재단)을 거치게 되는데,
재단과정은 기계적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오차가 발생했을 때도 정상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재단되는 부분에 꼭 여백이 필요해요.
그래서 여백을 두고 작업영역을 넘어 디자인을 해야 해요.
4. 후가공은 꼭 레이어를 분리해주세요.
인쇄와 후가공이 레이어 분리가 되지 않은 경우
후가공으로 비워둬야 할 디자인에 인쇄가 찍힐 수 있어요.
박스 제작 시 인쇄 외에 후가공 작업이 들어가는 부분은 레이어를 구분해 후가공을 꼭 기재해주어야 해요.
5. 글씨와 서체 사용시 꼭 아웃라인 처리를 해주세요.
래스터 이미지로 바꾸지 않으면 폰트가 없는 인쇄소에서는 기본 폰트로 인쇄되어 원하는 대로 모양이 나오지 못할 수 있어요.
꼭 글씨를 이미지화(래스터화, 아웃라인 처리, 깨트림 처리 등등) 해주세요!!
6. 칼선(재단선)이 수정되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칼선이 실물 사이즈와 동일하므로 임의로 줄이거나 확대를 하면 안돼요.
굿즈에 첨부된 칼선을 임의로 수정하시면 인쇄 사고가 생길 수 있으니
제공해드린 칼선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변경하지 않도록 주의 부탁드립니다!!
💖 종이
종이 이름
스노우지? 아트지? 종이 종류가 왜 이렇게 많아요?
각 종이의 이름은 종이를 제작하는 제지사가 지었기 때문에 재질이 유사한 용지라도 제지사가 다르면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을 수 있어요.
종이 두께, 그람(g)수가 뭔가요?
종이 한 장의 높이를 말하며, 단위는 ㎛(1/1000mm)입니다.
😀 : 스노우지 200g를 추천드리며~~ 요 그람수를 많이 써요!
🤔 : 200g는 어느정도 두껍..나요? 그게 뭐죠…?
대략으로 표현하자면
아트지 90g | 전단지 두께 |
아트지 150g | 공연 가면 얻는 팜플렛 |
아트지 260g | 종이자석 전단지 |
아트지 300g | 일반 줄노트 두께 |
모조지 70g | 김xx국 나x리 영수증(빌지) |
모조지 80g | 일반 노트 속지 |
모조지 210g | A4용지 두께와 유사 |
모조지 260g | 통장 표지 두께와 휘어짐 |
두께에 따라 용도와 인쇄물의 느낌이 완전히 다르니 인쇄 가이드에 따른 추천 그램 수대로 인쇄하는 걸 추천합니다!!
인쇄 가이드에서 추천했던 종이의 종류
이외의 종이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해당 사이트의 제작 가이드나 종이 가이드를 확인해주세요.
스노우지 | 광택이 나지 않는 용지. 종이의 표면이 눈처럼 쌓인 것 같아서 스노우지라고 불러요.
전단지, 리플렛, 팜플렛, 카다로그, 포스터, 엽서, 명함에 많이 사용해요. |
아트지 | 광택이 있는 용지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순백색의 용지에요. |
문켄 프린트 크림실버 | 재생 펄프를 사용한 환경친화적 종이로, 미색의 거친 표면이 특징이에요. |
반누보 화이트 | 약간의 미색으로 광택이 없는 고급 재질이에요. |
해당 종이의 특징
스노우지 | 아트지의 차이점은 질감과 광택으로 아트지에 비해 광택은 없지만 은은하게 표현되는 색감이 아트지보다 더 고급스럽게 표현돼요. |
아트지 | 종이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높아 그림 및 글자 등 색상을 선명하고 돋보이게 인쇄가 되는 것이 특징이에요. |
크림실버 | 진한 농도를 넓은 면적에 인쇄했을 때 번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
반누보 화이트 | 인쇄 후 컬러 구현력이 좋아 고급 인쇄물 제작 시 많이 사용해요. |
💖 인쇄
CMYK가 뭔가요?
RGB모드가 빛에 기초한 색상구현 원리라면 CMYK는 잉크에 구현한 색상원리에요.
CMYK는 RGB보다 색을 풍부하게 표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쇄물 작업 시 무조건 CMYK로 작업하여야 해요.
❤️🔥❤️🔥 만약 RGB모드인 상태로 인쇄를 맡기면 어떻게 되나요? ❤️🔥❤️🔥
인쇄 중 색이 CMYK로 강제로 틀어지며 내가 원하는 색상으로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꼭!!!! 원하는 색상으로 인쇄물을 받고 싶다면 CMYK모드로 작업해주세요!!!!!!!!
포토샵에서 확인법 | 일러스트레이터에서 확인법 |
이미지(Image)→모드(Mode)→CMYK 색상 | 편집(edit)→ 문서 색상 모드 → CMYK 색상 |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재단(칼선, 여백)이 뭔가요?
칼선이라고 하는, 인쇄출력 시 자르는 기준이 되는 선을 말해요.
재단 사이즈 : 실제로 원하는 인쇄물의 크기
인쇄 사이즈 : 재단 여백을 추가한 재단사이즈의 크기
🤔 : 오호….그러면 이미지 사이즈를 여백 크기만큼 키우면 되려나? 😭: 절대 안됩니다!!
이렇게 재단 크기와 작업 크기를 표기하여 인쇄 업체에 보내야 해요.

그러면 왜 재단을 만들어야 할까요?
자르는 공정을 거칠 때 단 1%의 오차와 움직임도 없이 자를 수가 없기 때문이에요.
보통 인쇄는 큰 종이에 파일을 배치해 여백을 자르는 방식으로 진행돼요.
1mm라도 밀려서 재단된다면 배경색이 있는 기존의 인쇄물에 하얀 선과 같은 원종이의 배경이 함께 잘려 나오게 되어 원하는 인쇄물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요.
따라서 약간의 오차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고자, 제작할 때부터 여유롭게 공간을 두고 제작하여 기계 오차범위만큼 사이즈를 늘려서 제작한다면 불필요한 배경 선 없이 원하는 인쇄 모양 그대로 바로 받아볼 수 있게 돼요.

어느정도 여백을 주어야 하나요?
인쇄물마다 다르며 평균 2~4mm 정도 여백을 요구해요.
인쇄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여백에 따라 재단 선을 만들면 돼요.
평균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인쇄 종류
n색 인쇄 = n가지 색만 사용하는 인쇄
4색 인쇄 | 인쇄할 때 기본적으로 모든 색을 CMYK 네 가지 색의 조합으로 인쇄합니다. |
별색 인쇄 | 기존 CMYK 4가지 색 외의 색을 외부에서 임의적으로 제조해 출력하는 방식. 보통 팬톤컬러에서 색을 많이 따옵니다. |
6도 인쇄 | CMYK 외에 2가지 색을 추가하여 인쇄하는 방식. 숫자가 올라갈수록 인쇄물의 퀄리티가 올라가지만 비용도 상승합니다. |
옵셋 인쇄 | 인쇄판과 고무롤러를 사용해서 종이에 인쇄하는 인쇄법. 달력, 잡지 등대량인쇄 또는 컬러인쇄가 필요한 분야에 널리 사용됩니다. |
디지털 인쇄 | 고속 레이저 프린터 출력 방식 으로 가정용 프린터의 전문가용이다. 원본 파일을 그대로 출력하기 때문에 소량의 인쇄물을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토너 인쇄 | 4가지 색상의 가루 토너를 전기와 고온으로 용지에 착색시키는 방식으로 광택이 있으며, 진하고 선명하게 표현됩니다. |
인디고 인쇄 | 4가지 색상의 전자 잉크를 차례대로 찍는 방식으로 은은하고 자연스러운 색감이 가능합니다. 그라데이션 등의 색감 구현능력이 뛰어납니다. |
잉크젯 | 잉크를 분사하거나 잉크를 뭉쳐서 분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선명한 인쇄품질이 장점이지만 물에 의해 쉽게 번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 후가공
인쇄가 끝난 후 꾸미거나 강화하는 행위를 후가공이라고 불러요.
대표적인 후가공인 코팅은 인쇄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나타나게 하거나 잉크의 변색을 방지해요. 또한 방습이나 장식 등의 효과를 위해서도 코팅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인쇄 가이드에서 추천하는 후가공 종류
종이 코팅
인쇄물 위에 필름을 입혀 가공하는 방식으로 내구성을 높여줘요.
무광코팅 | 광이 안 나는 필름으로 가공.
가공하여 은은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이 나는 코팅. 지문이 묻지 않아 깨끗하지만 투명도는 떨어집니다 |
유광코팅 | 광택이 나는 필름으로 가공.
디자인의 선명도가 높다. 색이 화려하게 표현됩니다. |
박/형압
박 | 색상이 들어간 은박지와 같은 재질을 종이위에 붙이는 느낌. 원하는 모양이나 글을 레이져로 새긴 후 강한 압력을 강하여 박아넣는 기법입니다. |
형압 | 종이의 특정부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돌출시키거나 들어가게 가공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종이를 누르는 방식이기에 앞뒷면 모두 형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
트래킹 코드:
P3QX-CFS3-RPCQ-HVMG
코드를 홍보 콘텐츠 페이지의 코드 입력란에 입력하면 홍보 페이지 상단의 별이 채워져요!
별을 모두 채우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